저어새 (2023)
모습은 변하였다. 하지만 원래의 모습에서 잠시 옷을 갈아 입고 생명들을 부르고 있다. 바닷물이 들어오면 더욱 많은 생명들이 찾아온다. 그때까지 수라는 다시 원형의 갯벌을 찾아가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저어새는 수라갯벌의 중요한 생명의 하나다.
– 오동필
Flocks of Black-Faced Spoonbills (Platalea minor) Forage in the Sura
Tidal Flats (2023)
The landscape of the Sura tidal flat has changed, but it has
only temporarily altered its attire, inviting life back to its shores.
The black-faced spoonbill bird is one of Sura’s vital lives. The
shallower the water, the deeper life takes root. The wide water
surface remains just shallow enough so that the spoonbill
never disappears. It will show us what lies beneath.
– Oh Dongpil
수라에 사는 새들 Birds of Sura
수라갯벌은 큰뒷부리도요, 검은머리갈매기, 검은머리물떼새, 저어새 등 다양한 물새가 찾아오며 새만금에서 가장 많은 개체의 도요물떼새가 서식하는 갯벌이다. 방수제 공사가 시작된 2009년 이후 방조제 내측의 수위를 해수면보다 1.5m 낮게 관리하자 갯벌 면적이 축소되면서 일부는 습지식물이 자라는 염습지와 초지로 천이되었다. 민물가마우지 국내 최대 서식지로 2020년 최대 3만 8천 개체까지 관찰되었다.
Sura Tidal Flat is a vital stopover for a wide range of waterbirds, including the great knot, Saunders’s gull, pied oystercatcher, and black-faced spoonbill. It is home to the largest number of shorebirds in the Saemangeum area. Since 2009, when construction began on the seawall, water levels inside the dike have been maintained 1.5 meters lower than sea level. As a result, the tidal flat area has decreased, and some parts have transitioned into salt marshes and grasslands where wetland plants now grow. Sura Tidal Flat is also the largest habitat in Korea for the great cormorant, with up to 38,000 individuals recorded in 2020.
수라갯벌은 큰뒷부리도요, 검은머리갈매기, 검은머리물떼새, 저어새 등 다양한 물새가 찾아오며 새만금에서 가장 많은 개체의 도요물떼새가 서식하는 갯벌이다. 방수제 공사가 시작된 2009년 이후 방조제 내측의 수위를 해수면보다 1.5m 낮게 관리하자 갯벌 면적이 축소되면서 일부는 습지식물이 자라는 염습지와 초지로 천이되었다. 민물가마우지 국내 최대 서식지로 2020년 최대 3만 8천 개체까지 관찰되었다.
Sura Tidal Flat is a vital stopover for a wide range of waterbirds, including the great knot, Saunders’s gull, pied oystercatcher, and black-faced spoonbill. It is home to the largest number of shorebirds in the Saemangeum area. Since 2009, when construction began on the seawall, water levels inside the dike have been maintained 1.5 meters lower than sea level. As a result, the tidal flat area has decreased, and some parts have transitioned into salt marshes and grasslands where wetland plants now grow. Sura Tidal Flat is also the largest habitat in Korea for the great cormorant, with up to 38,000 individuals recorded in 2020.
쇠검은머리쑥새 수컷 사랑의 노래 Ochre-rumped Bunting (Emberiza studentica) Love song
오승준 Oh Seungjun
오동필 Oh Dongpil
2012
너무도 작은 크기의 좀도요가 수백, 수천 킬로미터를 날아 왔다.
또 어떤 여정을 하기위한 시간이 기다릴까. 작은 몸에 생명을 실어 지구의 생명의 소리를 전하고 있다.
수라갯벌에 찾아온 좀도요, 물이 들어오면 갯벌에 있은 흙무더기 주변에 몸을 기대어 쉬고 있다.
오동필 Oh Dongpil
2012
오동필 Oh Dongpil
오동필 Oh Dongpil
2023
큰기러기는 수라갯벌의 염습지를 너무도 좋아한다. 나도 너희들를 좋아해.
오동필 Oh Dongpil
2021
하나도 버릴것이 없다. 하다못해 버려진 그물과 그물을 걸어두었던 저 기둥 하나하나 다 블럭의 하나처럼 버릴수가 없다. 수라갯벌에 쉬고 있는 저어새들
오동필 Oh Dongpil
새만금호에 민물가마우지가 가득이다. 생명은 어느것 하나 소중하지 않은것이 없다.
넌 없어도 돼고? 넌 있어도 돼는 것이 아니라. 다 같이 존재한다. 수라갯벌 부변에 쉬고 있는 민물가마우지 무리
Collision Between F-16 Fighter Jet and Great Cormorant Over Sura Tidal Flats
오동필 Oh Dongpil
2021
큰뒷부리도요 모형 공모전
큰뒷부리도요는 북극과 호주·뉴질랜드를 오가며 평생 46만km의 장거리 비행을 하는 경이로운 새입니다. 이들은 호주나 뉴질랜드에서 출발하여 7~8일 동안 한 번도 쉬지 않고 날아 중간 기착지인 새만금 갯벌을 비롯한 한국의 서남해안 갯벌 등으로 찾아옵니다. 출발할 때의 몸무게에서 40%가 줄어든 상태로 중간 기착지에 도착하는데, 40여일 동안 충분히 먹고 쉬면서 체력과 몸무게를 회복하고 다시 북극으로의 비행을 시작합니다. 서남해안의 갯벌은 이들의 생존에 있어 없어선 안 될 매우 중요한 곳입니다. 슬프게도 간척사업으로 많은 갯벌이 사라지면서 큰뒷부리도요 역시 대량 학살을 당했습니다. 새만금의 경우 방조제가 완공된 2006년 이전에 4,175명이 관찰되던 큰뒷부리도요가 현재는 겨우 274명이 관찰되는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하지만 갯벌이 살아난다면 희망이 있습니다!
Bar-tailed Godwit Model Contest
The bar-tailed godwit is an extraordinary bird that travels between the Arctic and Australia/Aotearoa (New Zealand), flying an astonishing total of 460,000 km over its lifetime. These birds depart from Australia or Aotearoa and, without stopping for 7–8 days, arrive at key stopover sites such as the tidal flats of Saemangeum and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By the time they reach these stopover sites, their body weight has decreased by about 40% compared to when they departed. They then rest and feed for about 40 days, regaining their strength and weight before beginning their flight back to the Arctic. The tidal flats of Korea’s southwest coast are essential for their survival. Tragically, large-scale reclamation projects have destroyed much of these tidal flats, causing severe declines in bar-tailed godwit populations. At Saemangeum, for example, 4,175 individuals were recorded before the seawall was completed in 2006, but now only around 274 are observed. However, if the tidal flats are restored, there is hope!
오동필 Oh Dongpil
https://www.khan.co.kr/article/202508012040001
수라갯벌에 사는 식물 Plants of Sura
2024년 5월 12일, 수라갯벌 중심부의 습지대에서 발견한 양뿔사초 군락에 대한 새만금신공항 백지화공동행동의 보도자료입니다. 양뿔사초는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식물로서, 국가적색목록 위급(CR:야생에서 극단적으로 높은 절멸위기에 직면한 상태)으로 평분류된 멸종위기종으로 국가보호식물입니다. 전국에 흔하게 분포하고 있지 않고, 정보가 부족한 식물입니다. 특이하게도 남부지역인 전북의 수라갯벌에서 양뿔사초 군락이 발견된 것인데요. 북부(강원도 철원, 횡성)를 제외한 남부지역에 양뿔사초가 발견된 것은 2015년 군산 백석제 습지 이후 이번 수라갯벌 습지가 두 번째입니다. 이번 양뿔사초 군락의 발견은 전북이 남방계와 북방계 식물이 공존하는 곳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수라갯벌이 습지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수라갯벌은 변화된 환경에 따라 갯벌과 육지로 이어지는 배후습지로서 조류, 저서생물, 양서파충류, 곤충, 포유류, 염생식물 등의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는 소중한 공간입니다. 수라갯벌을 공항이 아니라 갯벌과 습지로 보존해야할 또 하나의 중요한 이유입니다. 북방계 식물인 양뿔사초가 어떻게 남부지역인 수라갯벌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자생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국가차원의 보다 정밀한 조사 및 연구, 보호조치가 필요합니다.
This is a press release from the Joint Action to Cancel the Saemangeum New Airport Project regarding the discovery of a colony of yangppul sedge (Carex species) in the wetland area at the center of the Sura tidal flat on May 12, 2024. Yangppul sedge is a rare plant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It is classified as Critically Endangered (CR: facing an extremely high risk of extinction in the wild) on the National Red List, making it a nationally protected species. It is neither widely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nor well studied, with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about it. Remarkably, this colony of yangppul sedge was found in the Sura tidal flat in Jeonbuk Province, a southern region of Korea. Outside of northern areas such as Cheorwon and Hoengseong in Gangwon Province, this is only the second time the plant has been recorded in a southern region since its discovery at the Baekseokje wetland in Gunsan in 2015. The discovery of this colony shows that Jeonbuk is a place where both southern and northern flora coexist, underscoring the significant ecological and scientific value of the Sura tidal flat as a wetland. The Sura tidal flat is a valuable space where various species — including birds, benthic organisms, amphibians and reptiles, insects, mammals, and halophytes — thrive in a backshore wetland environment that transitions from tidal flats to land depending on environmental changes. This is yet another important reason why the Sura tidal flat should be preserved as a tidal flat and wetland, not developed into an airport. A more detailed nationwide investigation, research, and protective measures are needed to understand how this northern plant species, yangppul sedge, was able to form a colony and naturally grow in a southern area like the Sura tidal flat.
새만금신공항 백지화공동행동
2024
김윤하 Kim Yoonha
새만금신공항 백지화공동행동
2024
과거 수라에 살았던 저서생물과 어종 중에는 백합, 맛조개, 동 죽, 개량조개, 가무락, 바지락, 칠게, 흰발게, 농게, 갈게, 밤게, 어, 짱뚱어가 있었다. 물막이 이전에는 어민들이 한 물때에 맛조개를 20-30 키로 주워담을 수 있었다고 한다.
저서생물들이 먹이가 되어주었기 때문에 수라갯벌에는 저어새, 알락꼬리마도요, 넓적부리도요 들과 같은 멸종위기종 새들이 살았다. 덕분에 수라갯벌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철새가 이동 하는 서식지로 높은 생태적 가치를 지녔다.
2003년 부터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저서생물분과는 10평방 센티 등의 격자를 놓고 게 구멍을 세거나 했는데 방조제가 막히자 여러가지 핑계를 대며 정량분석을 포기했다. 바닷물이 방조제에 막혀 못 들어오는 상황이나 급변하는 지형변화를 지켜 보자니 수천만 마리 생명들이 생태학살 당하는 걸 지켜보는 것만도 숨이 막히고 호흡이 가빴기 때문이다. 정량분석까지는 못했지만 새만금시민 생태조사단의 카페나 보고서를 자세히 보면 그간의 저서생물 변화를 알 수 있다.
수라갯벌은 이제 원형 갯벌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마지막 갯벌이 되었고 저서생물의 생태도 달라졌다. ‘수라와 갯지렁이'들은 2023년 조사에서 칠게와 갈게, 농게, 사각게의 발자국과 섭식흔 및 낮은 염분에 의지해 10년 넘는 세월을 버티고 살아있는 흰발농게 서식 흔적을 확인하였다. 현재 수라갯벌의 저서생물은 배수갑문 개방 횟수에 의해 달라지는 해수유통량에 따라 살아났다가 폐사되기를 반복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수라갯벌에 저서생물들의 알과 플랑크톤, 유생들이 존재하고 있고 해수유통을 통해 바닷물이 공급되면 생물들이 살아날 것이라는 추측을 했다.
-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저서생물분과
In the past, the benthic organisms and fish species that lived in Sura included the surf clam, razor clam, ark shell, wedge clam, Japanese carpet clam, manila clam, fiddler crab, sand crab, red-clawed shore crab, mitten crab, and fish like the mudskipper. Before the seawall was built, fishers said they could gather 20–30 kilograms of razor clams in a single tidal cycle.
Because these benthic organisms served as food, endangered birds such as the black-faced spoonbill, great knot, and spoon-billed sandpiper lived in the Sura tidal flats. Thanks to this abundance, the Sura tidal flats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stopovers for migratory birds in the world, holding immense ecological value.
From 2003 onward, the Benthic Organisms Division of the Saemangeum Citizen Ecological Survey Team placed 10-square-centimeter grids to count crab burrows and conduct studies. But once the seawall blocked the water, they abandoned quantitative analysis under various pretexts. Watching the seawater cut off, the rapid changes in the landscape, and the ecological massacre of tens of millions of lives was suffocating and overwhelming enough without trying to count them.
Even without full quantitative data, one can still trace changes in benthic organisms over the years through the Survey Team’s reports and online postings. Now, Sura is the last tidal flat maintaining its original form, but the ecology of its benthic life has changed. In a 2023 survey, traces of the fiddler crab, sand crab, red-clawed shore crab, and square crab were found—feeding marks, footprints, and signs of survival by relying on low salinity. There were also traces confirming that the white-clawed fiddler crab had endured for over a decade.
Today, the benthic life of the Sura tidal flats repeatedly revives and perishes depending on the volume of seawater allowed in through the sluice gates. Still, the presence of eggs, plankton, and larvae of benthic organisms remains, leading to the hope that life could return if seawater circulation were restored.
— Benthic Organisms Division, Saemangeum Citizen Ecological Investigation Group
극한의 폭염을 견디지 못한 맛조개의 집단 폐사 (2023년 8월 5일)
새만금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갯벌인 수라갯벌은 하루 두 차례 해수가 유입되며 해양 생태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2023년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준비 과정에서 새만금호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해수 유입이 차단되었다. 그 결과, 맛조개와 같은 조개류가 극심한 건조 상태를 견디지 못하고 갯벌 표면으로 올라와 폐사하는 집단 폐사가 발생했다. 상시 해수 유통의 복원이 절실하다.
- 오승준 (수라와 갯지렁이 팀)
A Mass Die-off of Razor Clams, Unable to Withstand
the Extreme Heat (August 5, 2023)
Sura tidal flat, the last remaining tidal flat in Saemangeum, relied
on seawater inflow twice a day to sustain marine life. However,
during the 2023 World Scout Jamboree preparations, water levels
in Lake Saemangeum were lowered, blocking seawater entry.
This
led to mass shellfish deaths as species like razor clams, unable
to endure prolonged dryness, surfaced and perished. Restoring
constant seawater flow is crucial.
– Oh Seungjun / Sura and the Bristleworm Team
아래 목록은 “2025. 새만금과 수라갯벌의 저서생물.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저서생물분과(이성실)”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떡조개 (Dosinia japonica) 연체동물 이매패류 백합과 모래가 많은 갯벌에 산다. 희고 둥글고 넓적 하고 크다. 펑퍼짐한 모양새가 송편이나 개 떡처럼 생겼다고 떡조개다. 패각 두께가 두 껍고 둔탁하다. 큰 것을 지름이 12센티까지 된다. 해감이 잘되지 않는다고 한다. 구워 먹거나 삶아 먹고 국에도 넣는다. |
| 큰구슬우렁이 (Neverita didyma) 연체동물 복족류 구슬우렁이과 뻘과 모래가 섞인 갯바닥에 산다. 서해, 남해, 동해에서 다 산다. 다른 조개나 고둥을 잡아먹는 육식성 고둥이다. 먹잇감을 만나면 물을 빨아들여 제 살을 한껏 부풀린다. 몸으로 피식자를 감싼 뒤 치설로 껍데기에 작은 구멍을 낸 뒤 속살을 녹여 먹는다. 잡아먹힌 조개들에 구멍이 나 있다. 알을 낳는 5-6월 에 갯바닥에서 동그란 큰구슬우렁이 알집을 흔히 볼 수 있었다. 흔히 ‘골뱅이' 라 부른다 |
|
백합 Venus Clam 연체동물 이매패류 백합과 (Meretrix lusoria) 서해갯벌에서 많이 나지만 나는 곳이 드물었다. 민물이 흘러들고 뻘과 모래가 적당하게 섞인 곳에 산다. 무늬가 수백가지라 백합 이라 부르고 물속에서 건져내도 오래 산다고 생합이라 부른다. 바닷물은 염도가 35퍼밀정도, 백합은 12-15 퍼밀 염도의 바닷물을 좋아한다. 큰 강이 있고 경사도가 완만한 너른 갯벌에 많이 산다. 결국 새만금 갯벌이 가장 살기 좋은 곳이었 다. 전국 생산량의 90%가 새만금 백합이었다. |
한달에 한번 바닷물이 들어오는 습지, 석축 아래에 살았다. 현재 새만금에는 살지 못하지만 새만금의 보호종으로 유명했다. 대추같이 동그랗고 길쭉한 모양에 입구가 사람의 귀모양이라 대추.귀고등이라고 한다.
<대추귀고둥은 기수역지대, 아주 축축하지도 않고 건조하지 않은 곳 - 자연해안선을 따라 석축, 갈대밭, 진흙, 농경지에서 사는데 모래밭에서도 못산다고. 물에서는 못살지만 수분은 염분정도의 농도가 돼야 하는 아주 까다로운 녀석이랍니다. 만조선으로부터 50미터 위쪽으로 찾아볼 수 있다합니다. 갈대 높이가 3060gm가 될 무렵(5월경)에 나오기 시작하여 9월경 부터 겨울잠을 잔다고요.> (새만금조사단 2006년 7월 4일, 30차 조사 화포선착장에서 기록>
|
흰발농게 Austruca lactea 절지동물 갑각류 달랑게과 모래가 많이 섞인 뻘갯벌에 구멍을 파고 산다. 수컷 한쪽 집게다리가 희다고 흰발농게다. 짝짓기 철에 수컷이 눈에 띄려고 흰발을 앞.뒤로 흔든다. 수라갯벌에 대부분의 게가 사라졌는데 끝까지 살아 남아있다. 과거에 문포나 심포갯벌 제방이나 석축 아래 물이 한 달에 한번 들어오는 곳에 서식지가 있었다. 그만큼 뻘에 물이 적고 염분이 낮은 상황도 견딜 수 있기에 살아남은 듯하다. |
칠게 절지동물 갑각류 달랑게과 새만금방조제로 바다가 막힐 때, 마지막까지 어민들이 잡던 가장 흔하게 살던 게종류다. 물기가 촉촉한 뻘갯벌에 구멍을 파고 산다. 갯벌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게로 무리지어 살고 집게발이 옅은 파란색이거나 분홍색이다. 새만금에서는 해수유통이 안되자 염분이 떨어져 살 수 없게되어 사라졌고 칠게를 먹이로 살던 알락꼬리마도요 등 새들도 사라졌다. 상시유통으로 바닷물이 들어오고 염도가 높아지면 가장 먼저 칠게 서식지가 복원되기 시작할 것이라 예상한다. 사진은 옥봉리의 칠게, 알을 배고 있어서 사람이 가까이 다가가자 앞발을 내저었다. "저리가!" 외치는 듯 했다. |
|
농게 절지동물 갑각류 달랑게과 물이 가까운 뻘갯벌에서 구멍을 파고 산다. 나문재같은 염생식물이 자라는 곳에 살고 물이 빠지면 갯고랑 언저리 같은 곳에 무리 지어 있다. 수컷의 한쪽 집게발이 붉고 커서 ‘붉은발농게’, ‘붉은 농발게' 라고도 부른다. 암컷은 집게발이 둘 다 작고 수저같아서 부지런히 뻘을 먹는다. |
| 서해비단고둥 (Umbonium thomasi) 연체동물 복족류 밤고등과 황해에서만 나는 특산종이다. 서해 모래갯벌 에서 산다. 물 빠진 모래 갯바닥에서 무리지어 기어다닌다. 갯바닥을 기어다닌 자국이 길게 난다. 새만금 갯벌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지만 이제는 패각만 남아있다. |
연체동물 이매패류 돌개과
서해와 남해 갯바위에서 무리지어 산다. 바위틈에 살았다. 갯마을에서는 ‘단추'라고 불렀다. 살아있을 때는 테두리를 따라 털이 난 모양이라 복털조개라 부른다. 돌고부지라고도 한다. 수라에서는 칼슘질의 패각으로 살았던 흔적을 확인 할 수 있다.
|
방게 절지동물 갑각류 바위게과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강어귀 뻘바닥에 비스듬히 구멍을 파고 사는 게다. 갈대밭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등딱지가 네모꼴이라 방게라 부른다. 앞발이 튼튼해서 굴도 잘 판다. 염분이 낮아도 물이 있으면 버티기 때문에 수라갯벌에 산다. 방게는 맛이 좋아 게장을 담갔다. 봄이면 어촌계의 시장에 많이 나왔던 게다. |
도둑게 Red-clawed crab (Chiromantes haematocheir) 절지동물 갑각류 바위게과 바닷가 가까이 냇가, 논밭, 산기슭에 굴을 파고 산다. 부엌까지 들어와 밥을 훔쳐먹기도 해서 도둑게라 부른다. 뱀처럼 굴을 파고 산다고 뱀게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름에 짝짓기를 하고 8-9월에 무리지어 바닷로 내려가 알에서 깨어나는 새끼들을 바닷물에 털어놓는다. 그러니까 새만금 방조제가 막힌 뒤로 도둑게는 알을 바다로 보내지 못했고 새끼들은 바다에서 살다가 뭍으로 올라와야 하는데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을 거다. |
2024
김윤하 Kim Yoonha
수라갯벌을 살리기 위한 다양한 활동
Various Activities to Save the Sura Tidal Flat
Various Activities to Save the Sura Tidal Flat
30년 넘게 진행된 새만금 개발사업에도 원형의 모습을 간직한 채 멸종위기 생명들의 삶터가 되어주고 있는 수라갯벌이 새만금 신공항 예정지가 되자 여러 시민단체들은 연대해 수라 갯벌 지키기 운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Even after more than 30 years of the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the Sura tidal flat has retained its original form and continues to serve as a habitat for endangered species. When it was designated as the planned site for the Saemangeum New Airport, various civic organizations launched a movement to protect the Sura tidal flat.
김윤하 Kim Yoonha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Saemangeum Citizen Ecological Investigation Group
2003년 시민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꾸려진 모임.
시민, 활동가, 전문가가 함께하는 공동조사단으로 20여 년째 매달 첫쨋 주 일요일 정기조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물새와 저서생물, 문화 팀으로 나누어 생태계 및 주민 삶의 변화상을 조사합니다.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은 누구나 함께할 수 있는 열린 모임입니다.
문의사항은 다음카페 메모장에 남겨주세요:
https://cafe.daum.net/smglife/
https://www.instagram.com/smglife_2003/
김윤하 Kim Yoonha
김윤하 Kim Yoonha
김윤하 Kim Yoonha
김윤하 Kim Yoonha
김윤하 Kim Yoonha
김윤하 Kim Yoonha
김윤하 Kim Yoonha
김윤하 Kim Yoonha
2024
https://www.instagram.com/danceforsura/
새만금신공항 기본계획 취소소송 2차 재판 기자회견 단체사진 (2023)
임수아
Saemangeum New Airport Cancellation Coalition Group Photo (2023)
Yim Sua
수라갯벌은 저어새입니다.
수라갯벌은 흰발농게입니다.
수라갯벌은 도요새입니다.
수라갯벌은 당신입니다.
수라갯벌은 우리입니다.
저어새가 말한다. 새만금신공항 철회하고, 수라갯벌 보존하라!
흰발농게가 말한다. 생태학살·기후재앙·전쟁위협·혈세착취 새만금신공항 철회하라!
도요새가 말한다. 토건자본만 배불리는 새만금신공항 어림없다. 수라갯벌 보존하라!
황조롱이가 말한다. 지역균형발전은 허구, 미공군 제2활주로 증설이 진실이다. 새만금신공항 취소하라!
2023년 9월 14일
— 새만금신공항 기본계획 취소소송 원고인단, 새만금신공항 백지화공동행동, 녹색법률센터 변호인단
인터넷과 페이스북에서 ‘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을 검색해보세요.
‘새만금 신공항 백지화 공동행동' 페이스북 그룹을 팔로우하거나
전북녹색연합 홈페이지 (https://greenjeonbuk.org/)에서 최신 소식을 찾아보시고
주변에도 소식 전달해주기를 바랍니다.
Sura Tidal Flat is the black-faced spoonbill.
Sura Tidal Flat is the white-handed fiddler crab.
Sura Tidal Flat is the migratory shorebird.
Sura Tidal Flat is you.
Sura Tidal Flat is all of us.
The black-faced spoonbill cries out: “Scrap the Saemangeum New Airport! Save the Sura Tidal Flat!”
The white-handed fiddler crab demands: “Cancel this airport of ecological slaughter, climate chaos, war threats, and public fund exploitation!”
The shorebird warns: “No more airports that only feed construction capital. Protect the Sura Tidal Flat!”
The kestrel declare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s a lie — this is really about expanding the U.S. Air Force’s second runway. Cancel the Saemangeum New Airport!”
Sept 14, 2023
— Plaintiffs in the lawsuit to cancel the Saemangeum New Airport Master Plan, Joint Action for the Cancellation of Saemangeum New Airport, Green Law Center Legal Team
새 모자: 저어새와 검은머리 갈매기 (2023)
군산에 기반한 시민단체 ‘평화바람’에서 저어새, 쇠제비갈매기, 황조롱이, 큰고니, 검은머리갈매기, 검은머리물떼새 등 수라갯벌에 사는 새들을 본떠 손수 제작한 ‘새 모자’예요. 행정법원 앞에서 새만금의 새들이 직접 말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는 마음으로 100마리 넘게 만들었어요. 만들 때마다 한 마리 살려냈구나, 또 한 마리 살려냈구나 하는 벅찬 마음이 들었어요. 시민들은 새들을 대리하는 마음으로 이 새 모자를 쓰고 기자회견에 참여했죠. 갯벌을 지켜내는 그날까지 계속 싸워야죠.
– 오두희 (평화바람)
Bird hats: Black-Faced Spoonbill and Saunders’s Gull
(2023)
The citizen group Peace Wind handcrafted these hats, modelling
them after the black-faced spoonbill, whooper swan, and
Saunders‘s gull—the birds that call the Sura tidal flat home. We
made more than 100 of these hats hoping to give Saemangeum’s
birds a voice in front of the administrative court. Every time we
made one, we felt a surge of emotion—as if we were bringing
each bird back to life, one by one. People wore these hats in
press conferences, standing in for the birds.
– Oh Doohee / Peace Wind
김윤하 Kim Yoonha
수라갯벌에 깃들어 사는 수많은 생명을 기록하고 알리기 위한 누리집입니다.
This is a website dedicated to documenting and sharing the many forms of life that inhabit the Sura Tidal Flat.
30년 넘개 진행된 새만금 개발 사업 와중에도 아직 살아남아 있는 원형 갯벌로 남북으로 6km, 동서로 3km 이상 넓게 펼쳐져 있다. 40여 종의 멸종위기종을 비롯 수많은 생명들의 서식지이나 새만금 신공항 건설 예정 부지로 지정되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일부는 산업단지 부지로 매립되었고, 육상태양광발전소 부지로도 사용되고 있다. 수라갯벌에 찾아가고자 한다면 새만금개발청에서 출발, 남북도로를 이용해 남쪽으로 이동하거나, 군산공항에서 출발해 ‘군산시 옥서면 옥봉리 973’쪽으로 이동하면 된다. -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Despite more than 30 years of the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the original Sura Tidal Flat still survives, stretching over 6 km from north to south and more than 3 km from east to west. It is home to numerous life forms, including more than 40 endangered species, but has been designated as the planned site for the Saemangeum New Airport and is now at risk of disappearing. Parts of it have already been reclaimed for an industrial complex site, and it is also being used as a site for onshore solar power generation. To visit the Sura Tidal Flat, you can depart from the Saemangeum Development Office and travel south via the North–South Road, or depart from Gunsan Airport and head toward “973 Okbong-ri, Okseo-myeon, Gunsan-si.” - Saemangeum Citizen Ecological Investigation Group
만든이
Created by
기여한신분들
Contributors
Created by
기여한신분들
Contributors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Saemangeum Citizen Ecological Investigation Group
평화바람 Peace Wind
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 Joint Action for Cancellation of Saemangeum New Airport
전북녹색연합 Jeonbuk Green Korea
수라갯벌의 친구들 Friends of Sura getbol
[사진 자료 Photos]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Saemangeum Citizen Ecological Investigation Group
오동필 Dongpil Oh
오승준 Seungjun Oh
임수아 Sua Yim
김윤하 Yoonha Kim
[참조한 글]
2023. 06.14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새만금과 수라갯벌 답사를 위한 안내’. 글, 사진: 오동필, 정희정, 이성실, 한명숙, 김교진, 김형균, 김경완
2025.08 새만금과 수라갯벌의 저서생물.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저서생물분과(이성실)
수라 갯벌 연대표
Timeline
서명
Petition
Timeline
서명
Petition
새, 사람 행진
2023
수라와 갯지렁이'들의 조사에 따르면 칠게와 갈게, 농게, 사각게의 발자국과 섭식흔 발견, 낮은 염분에 의지해 10년 넘는 세월을 버티고 살아있는 흰발농게 서식 흔적을 확인.
2022.09.28
국민 소송인단 1,308명이 원고로 참여한 새만금신공항 기본계획 취소소송
2022
천막농성 시작
2013
사라진 줄 알았던 흰발농게가 물끝선에서 약 1km떨어진 내륙 쪽에서 발견되었다.
2010.12
방수제공사. 내수면 수위 1.6m 유지
2010
전구간 완공
4년간 바닷물이 수문을 통해 드나들며 염도가 낮은 곳에서 자라는 재첩이 번성
2006.가을
붉은어깨도요 8만마리 폐사
2003.6.12
제 4공구 물막이 공사로 바닷물이 들어오지 않자 수라갯벌에 흔하게 살던 서해비단고둘과 민행이, 동죽, 민띠접시조개들이 보이지 않게 되었다.
2006.04
새만금방조제 제2공구 끝물막이 공사로 하루 두 번 갯벌로 들어오던 바닷물은 완전히 끊겼다.
제한적인 해수유통이 있었지만 모래갯벌이 펄갯벌로 바뀌고 염분농 도가 달라져 수많은 저서생물이 죽어갔다.
펄털콩게,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남방백금갯지렁이 등이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했고 물막이 공사이전 우점종이었던 짧은가시육질꼬리옆새우와 가 시닻해삼이 완전히 사라졌다. 동죽과 개맛이 일부 지역에서 보였고 겨울에 수온이 내려가자 상괭이 100여 개체가 새만금방조제 안쪽에서 떼죽음을 당하기도 했다.
2003.11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출범
2003.03.28 - 05.31
삼보일배 (305km, 65일)
2001.8.22
환경단체, 종교단체, 시민 새만금사업 반대 소송
1991
기공식
1987
서해안간척사업 추진계획. 사업추진불가 판정.
12월 노태우 선심성 공약
1971
새만금사업의 기원인 '옥서지구 농업개발사업계획‘ 수립
국민 소송인단 1,308명이 원고로 참여한 새만금신공항 기본계획 취소소송
2022
천막농성 시작
2013
사라진 줄 알았던 흰발농게가 물끝선에서 약 1km떨어진 내륙 쪽에서 발견되었다.
2010.12
방수제공사. 내수면 수위 1.6m 유지
2010
전구간 완공
4년간 바닷물이 수문을 통해 드나들며 염도가 낮은 곳에서 자라는 재첩이 번성
2006.가을
붉은어깨도요 8만마리 폐사
2003.6.12
제 4공구 물막이 공사로 바닷물이 들어오지 않자 수라갯벌에 흔하게 살던 서해비단고둘과 민행이, 동죽, 민띠접시조개들이 보이지 않게 되었다.
2006.04
새만금방조제 제2공구 끝물막이 공사로 하루 두 번 갯벌로 들어오던 바닷물은 완전히 끊겼다.
제한적인 해수유통이 있었지만 모래갯벌이 펄갯벌로 바뀌고 염분농 도가 달라져 수많은 저서생물이 죽어갔다.
펄털콩게,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남방백금갯지렁이 등이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했고 물막이 공사이전 우점종이었던 짧은가시육질꼬리옆새우와 가 시닻해삼이 완전히 사라졌다. 동죽과 개맛이 일부 지역에서 보였고 겨울에 수온이 내려가자 상괭이 100여 개체가 새만금방조제 안쪽에서 떼죽음을 당하기도 했다.
2003.11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출범
2003.03.28 - 05.31
삼보일배 (305km, 65일)
2001.8.22
환경단체, 종교단체, 시민 새만금사업 반대 소송
1991
기공식
1987
서해안간척사업 추진계획. 사업추진불가 판정.
12월 노태우 선심성 공약
1971
새만금사업의 기원인 '옥서지구 농업개발사업계획‘ 수립
[Open Letter] We Urge the Cancellation of the Saemangeum New Airport Construction https://forms.gle/J9cxZnq4wFpqx9EY8
Research Archive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보고서
(학술)자료 References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1주년 보고서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2주년 보고서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3주년 보고서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5주년 보고서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10주년 보고서
2025
Nature
Science Journal letter 'Airport plan imperils South Korea's tidal flat'
2025
BirdLife Asia statement on the proposed Saemangeum New Airport: August 2024
Naturing 수라갯벌의 생물
https://www.naturing.net/m/5969/card
Nature
Science Journal letter 'Airport plan imperils South Korea's tidal flat'
2025
BirdLife Asia statement on the proposed Saemangeum New Airport: August 2024
Naturing 수라갯벌의 생물
https://www.naturing.net/m/5969/card